본문 바로가기

1주차2

[ 구름톤 챌린지 ] 1주차 2, 3, 4회차 학습 일기 🏆 배운 점 2️⃣ 2회차 1회차 시에 BufferedReader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은 이해했는데 readLine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다. 😂 readLine을 하니 한줄 씩 사라진다는 걸 해보면서 깨닫게 되었다. 만약 입력을 아래처럼 받는다고 치면은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 로 입력 받았다면? 라인 1 라인 2 라인 3 readLine을 할 때마다 String x1 = str.readLine()이런식으로 한다 치면 br에 입력 받은 문장은 라인2, 라인3만 남게 되는 구조였다. 근데 막상 써보니 너무 좋아서 계속 잘 활용해서 썼다. 👍 3️⃣ 3회차 이건 배웠다 해야할지 복.. 2023. 8. 17.
[ 구름톤 챌린지 ] 1주차 1회차 학습 일기 🏆 배운 점 BufferedReader 사실 항상 Scanner만 쓰다가 오늘 보니 BufferedReader로 되어있길래 개념을 공부하고 써보면 좋겠다는 생각에 알고리즘을 풀 때 처음 써보게 되었다! 일반 블로그도 찾아보고 자바의 정석 책도 찾아보았는데 결론은 버퍼를 사용하여 입출력의 효율을 높여준다는 것이었다! https://m.blog.naver.com/ka28/221850826909 그래서 InputStreamReader로 기본 인코딩 문자로 변환하는 Input Stream Reader를 생성하며, System.in을 사용하여 콘솔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데 사용한 다음 readLine으로 사용자의 화면 입력을 라인 단위로 입력 받은 걸 볼 수 있었다. 아래는 해당 소스코드이다! 보면서 해석하면 좀.. 2023. 8. 1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