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1 스프링 부트란?
-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개선한 것
- 개발 환경 설정 간소화 : 외부 라이브러리 최적화하여 제공
-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내장 : 톰캣. jar 파일로 간편 배포 가능
1.2 스프링 부트 개발 환경 설치
- JDK 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 및 버전 확인
java -version
- http://start.spring.io 에서 프로젝트 생성
- Project : Gradle - Groovy
- Language : Java
- Spring Boot : 3.1.0(없어서 기본값 사용)
- Snapshot : 현재 테스트 단계
- Mx(MileStone) : 주요 기능 및 버그 수정 단계
- RC(Release Candidate) : 전반적 기능과 버그가 모두 수정된 최종 배포 전 단계
- GA(General Availability) : 최종 배포 단계
- Packaging : Jar
- Java : 17(JDK 설치 버전과 동일하게)
- 프로젝트 Artifact 작성
- Dependencies : Spring Web, H2 Database(DB), Mustache(화면구성), Spring Data JPA(DB 편하게 해주는 도구)
1.3 웹 서비스의 동작 원리 이해하기
- 클라이언트 : 서비스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
- 서버 :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
- localhost : '내 컴퓨터', '우리 집'
- 8080 : 방 번호에 해당
- src > main > resources > static 에서 html 파일을 찾는다
'개인 공부 > BackEnd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Spring Boot ] 맨날 까먹는 나를 위한 복습 - 12 - (0) | 2024.03.24 |
---|---|
[ Spring Boot ] 맨날 까먹는 나를 위한 복습 - 11 - (0) | 2024.03.22 |
[ Spring Boot ] 맨날 까먹는 나를 위한 복습 - 7 - (0) | 2024.03.17 |
[ Spring Boot ] 맨날 까먹는 나를 위한 복습 - 6 - (0) | 2024.03.17 |
[ Spring Boot ] 맨날 까먹는 나를 위한 복습 - 2 - (0) | 2024.03.09 |